펀드 기본 지식-펀드의 분류
본문 바로가기
알뜰한 살림

펀드 기본 지식-펀드의 분류

by gabriel521 2020. 12. 23.
728x90
반응형

수많은 종류의 펀드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어딘가에서 본 바로는 대략 2만종이 넘는다고 합니다.

은행 적금 이자가 별로 매력적이지 않은 요즘 같은 시기에는 적절하게 펀드에 적립식 투자를 하면

은행 적금보다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펀드를 고를 때엔, 투자대상, 운용보수 등등 여러가지를 따져봐야 하는데,

여기에서는 펀드에 대한 기본 상식을 기를 겸 몇가지 기준에 따라 펀드를 분류해 보겠습니다.

1. 투자 대상에 따라

  • 증권 펀드 : 주식과 채권에 투자를 하며 대부분의 펀드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 실물 펀드 : 원유, 금과 같은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파생상품펀드 : 선물, 옵션 등 파생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부동산펀드 : 말 그대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MMF : Money Market Fund의 약자로 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재간접펀드 : 또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펀드 오브 펀드 라고도 부릅니다.

2. 적립 방법에 따라

  • 적립식 펀드 :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은행 적금과 비슷하다 보시면 됩니다.
  • 임의식 펀드 : 말그대로 금액과 투자 기간을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 거치식 펀드 : 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기간 동안 거치하는 펀드로 은행 예금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3. 수수료 부과 시점에 따라

  • 선취수수료 방식 : 투자금에서 수수료를 먼저 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투자합니다.
  • 후취수수료 방식 : 입금시에는 수수료를 제하지 않으며, 펀드 환매시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4. 주식 투자 비중에 따라

  • 주식형 펀드 :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이 최소 60%이상인 펀드를 말합니다.
  • 채권형 펀드 : 국채나 회사채 등 채권에만 투자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 혼합형 펀드 : 주식형과 채권형의 중간입니다. 주식 비중이 50%이상이면 주식혼합형, 채권 비중이 50%이상이면 채권혼합형 펀드라고 합니다.

5. 환매 수수료 면제 기간에 따라

  • 단기형 펀드 : 가입후 3개월 미만에 환매 시 환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입니다.
  • 중기형 펀드 : 가입후 6개월 미만에 환매 시 환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입니다.
  • 장기형 펀드 : 가입후 1년 미만에 환매 시 환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입니다.

6. 투자 지역에 따라

  • 국내펀드 : 국내의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 해외펀드 : 해외의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7. 주식 투자 경향에 따라

  • 대형주 펀드 : 시가총액 100위 이내의 기업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중소형주 펀드 : 시가총액이 중하위권에 속하는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배당주 펀드 : 배당이 많은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인덱스 펀드 :  주가 지수를 추종하는 투자 방식의 펀드입니다.
  • 가치주 펀드 : 기업의 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어떤 주식이 가치주인지는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 성장주 펀드 : 매출의 성장이 20%이상으로 기대되는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그 많은 종류 만큼, 펀드에 따라서 수익률이 천차 만별이므로, 기본적으로 내가 관심을 갖는 펀드가 어떤 성향의 펀드인지는 알고 투자 하는 것이 기본 자세일 것 같습니다. 주식이든 펀드든 '묻지마 투자'는 위험하니까요.

 

728x90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