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생활의 Tip26 은행 금리 실시간으로 조회하기 은행의 예금 적금 대출 상품 금리는 수시로 변동이 됩니다. 따라서 수시로 금리를 확인해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각각 은행별 상품별 금리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 소개합니다. 1. 시중은행 전국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www.kfb.or.kr 전국은행연합회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 정보, 소비자 정보, 회원사 정보 및 연합회 소개 등 www.kfb.or.kr 메인 페이지의 하단부 오른편 '자주찾는 메뉴' 중 '예금 금리'를 클릭합니다. 각 시중은행의 예/적금 금리를 여러가지 조건을 적용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한 결과를 엑셀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2. 저축은행 저축은행 중앙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아래 .. 2020. 12. 11. 가습기의 종류 별 특징과 장점,단점, 사용시 주의할 점 계절이 바뀌어 어느덧 가을이 무르익다 못해 겨울의 문턱에 와 있습니다. 쌀쌀해진 날씨에 난방을 하기 시작하면서 찾게 되는 계절 가전은 바로 가습기이지요. 날씨가 추워지면서 문을 열어 환기하는 게 뜸해지고, 난방으로 인해 건조해진 실내 공기는 적지 않은 불편함을 가져다 줍니다. 건조한 공기는 코의 점막을 메마르게 하고, 이로 인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호흡기가 약한 분들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이 계신 가정은 적정한 실내 습도 유지가 (55~60%)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지요. 가습기의 종류와 각각의 장단점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초음파 가습기 몇 년 전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인해 사람들의 선호도는 많이 떨어졌지만, 그래도 보편적이고 오.. 2020. 12. 10. 은행 적금 금리의 함정 은행 적금 상품의 광고는 으례 연이율 x.x%라는 문구로 나의 돈을 유혹합니다. 연 3%라고 하면 1년간 맡긴 돈에 대해 3%의 이자를 준다는 뜻입니다. 월 10만원씩, 연이율 3%로 1년 만기 적금을 가입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1년간 내가 낸 원금이 120만원이니 이것의 3%면, 3만 6천원의 이자가 붙는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자 계산법은 그렇지 않습니다. 첫달에 불입한 금액은 1년의 이자인 3%가 붙지만, 그 이후에 불입한 금액의 이자는 점점 줄어들게 되지요. 결국 마지막달에 불입한 돈에는 3%의 12분의 1인 0.25%의 이자만 붙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만기 후 세전 이자는 19,500원입니다. 여기다 비과세 상품이 아닌 경우 15.4%의 세금이 .. 2020. 12. 10.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연말 정산은 크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두가지로 나뉩니다. 이 둘의 차이를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매 달 월급이 들어올 때 소득세와 이에 비례하는 주민세가 월급에서 미리 공제됩니다. 이 때는 월급의 금액에 따라 일괄적으로 세금을 공제합니다. 하지만, 같은 월급을 받더라도 사람마다 생활 여건이나 부양 가족 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금액의 세금이더라도 이에 대한 부담이 다르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연말정산을 통해 이미 납부한 세금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것입니다. 세율은 최종 확정된 소득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소득구간에 맞게 정해집니다. 즉 확정 소득이 높아지면 세율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 세율이 낮아지겠지요. 확정 소득에서 제외해 주는 항목을 '소득공제'라고 합니다. 확정소득이 줄어든 만큼 적용.. 2020. 12. 10. 이전 1 ···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