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65 냉동삼겹살에 대한 단상, 종각역 냉동삼겹살 맛집-대독장 종로구청점 #냉동삼겹살, 혹은 #냉삼. 삼겹살이라고 하면 당연히 냉장된 생삼겹살이 떠오르겠지만, 내 어린 시절엔 정육점에 가면 냉동고에서 꺼낸 꽝꽝 얼린 덩어리를 기계로 썰어주는 냉동삼겹살이 삼겹살의 전부였다. 냉장 유통 시설이 지금만큼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이기도 하고, 돼지고기 소비량이 지금보다는 현저히 적었을 시절이니 도축한 고기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는 당연한 일이기도 했다. 딱딱하게 얼어 있는 삼겹살을 은박지를 깐 불판위에 올려 바짝 구워서, 노란 참기름에 살짝 찍어 먹는 로스구이는 아직도 그 고소한 맛이 기억에 생생하다. 주머니 사정이 팍팍하던 대학시절, 신촌 골목 어디든 대패 삼겹살을 파는 집들이 있었다. 육절기에 얇게 썰려 돌돌 말린 모습이 대팻밥같이 생겨 그런 이름이 붙었을 것이다. 차돌박이만큼 .. 2020. 12. 10. 은행 적금 금리의 함정 은행 적금 상품의 광고는 으례 연이율 x.x%라는 문구로 나의 돈을 유혹합니다. 연 3%라고 하면 1년간 맡긴 돈에 대해 3%의 이자를 준다는 뜻입니다. 월 10만원씩, 연이율 3%로 1년 만기 적금을 가입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1년간 내가 낸 원금이 120만원이니 이것의 3%면, 3만 6천원의 이자가 붙는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자 계산법은 그렇지 않습니다. 첫달에 불입한 금액은 1년의 이자인 3%가 붙지만, 그 이후에 불입한 금액의 이자는 점점 줄어들게 되지요. 결국 마지막달에 불입한 돈에는 3%의 12분의 1인 0.25%의 이자만 붙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만기 후 세전 이자는 19,500원입니다. 여기다 비과세 상품이 아닌 경우 15.4%의 세금이 .. 2020. 12. 10.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연말 정산은 크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두가지로 나뉩니다. 이 둘의 차이를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매 달 월급이 들어올 때 소득세와 이에 비례하는 주민세가 월급에서 미리 공제됩니다. 이 때는 월급의 금액에 따라 일괄적으로 세금을 공제합니다. 하지만, 같은 월급을 받더라도 사람마다 생활 여건이나 부양 가족 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금액의 세금이더라도 이에 대한 부담이 다르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연말정산을 통해 이미 납부한 세금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것입니다. 세율은 최종 확정된 소득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소득구간에 맞게 정해집니다. 즉 확정 소득이 높아지면 세율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 세율이 낮아지겠지요. 확정 소득에서 제외해 주는 항목을 '소득공제'라고 합니다. 확정소득이 줄어든 만큼 적용.. 2020. 12. 10. ISA 가입 할까? 말까? ISA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계좌 한 개로 예금, 적금, 펀드 뿐만 아니라 각종 금융 투자 상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ISA는 계좌 통합 손익을 기준으로 세금이 과세됩니다. 즉, 예금이자가 100만원이 발생했고, 펀드에서 200만원의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ISA 계좌가 아니라면, 예금이자 100만원에 대해 15.4%의 세금(소득세+지방세)를 내야 합니다.그런데 ISA 계좌라면, 이자 수익 100만원과 펀드 손실 200만원을 합산하면, 수익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세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하지만 ISA에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인기가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펀드의 수수료는 물론이고, 예금에 대해서도 0.1%의 수수료가 발생합니.. 2020. 12. 10.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